웹/스프링

웹 프로그래밍 설계 모델

시나모온 2020. 6. 4. 05:59

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%8A%A4%ED%94%84%EB%A7%81-%ED%94%84%EB%A0%88%EC%9E%84%EC%9B%8C%ED%81%AC_renew/dashboard

을 통해서 학습했으며, 아래 자료는 위의 자료로부터 가져온 것임을 밝힙니다.

 

 

모델 1 : 서비스, DAO, JSP가 하나의 파일에 다같이 들어있는 경우

오늘날에는 거의 사용 안 한다.

 

 

모델2 : MVC 방식, 컨트롤러, 서비스, DAO, View, Model이 분리되어 있음. 대부분의 웹이 이런한 형식을 갖춤

 

 

스프링 MVC

1. HandlerMapping : 가장 적합한 컨트롤러를 선택해준다.

2. HandlerAdapter : 컨트롤러의 가장 적합한 메소드를 찾아준다.

3. Controller : Service, DAO 다 포함한다

4. ViewResolver : 가장 적합한 View(.JSP)를 선택해준다.

5. View : JSP파일들

 

 

servlet-context.xml : 스프링 설정 파일

 

 

스프링 설정파일 설정 : servlet-context.xml을 이용해 스프링 컨테이너를 만든다.

스프링 설정파일 미설정 : appServlet-context.xml을 이용해 스프링 컨테이너를 만든다.

 

 

컨트롤러는 직접 만들어줘야한다.

<anotation-driven />을 추가해주고 @Controller를 붙여주면 컨트롤러로 작동한다.

 

 

@Controller 안에 있는 메소드에

@RequestMapping(" /success") 어노테이션을 붙여준다.

 

 

 

컨트롤러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위로 정보를 올리는데, 이때 Model, View를 전달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개발 환경 : eclipse 2019-12, Oracle, tomcat


지적, 조언, 질문 환영입니다! 댓글 남겨주세요~