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/스프링

@Bean 스프링 기본 개념

시나모온 2020. 5. 23. 17:45

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%8A%A4%ED%94%84%EB%A7%81-%ED%94%84%EB%A0%88%EC%9E%84%EC%9B%8C%ED%81%AC_renew/dashboard

을 통해서 학습했으며, 아래 자료는 위의 자료로부터 가져온 것임을 밝힙니다.

 

스프링에서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. 가장 핵심이 되는 core, core를 이용해서 스프링 컨테이너(IoC)를 관리하고 빈을 주입할 수 있다.

 

AOP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뜻이다. 개발자가 반복적인 일을 하는 것은 피하게 하고 주요 개발 업무만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. 

 

JDBC는 데이터 베이스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.

 

Tx는 잘 모르겠다.

 

WebMVC는 Model, View, Controller의 구성으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.

 

 

 

 

스프링 컨테이너에 빈을 넣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쓰기 때문에 재사용성이 좋다. 그리고 메모리도 절약된다. 심지어 편하다. 개꿀이다.

 

 

 

개발 환경 : eclipse 2019-12, Oracle, tomcat


지적, 조언, 질문 환영입니다! 댓글 남겨주세요~